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공주여행]한국 구석기의 시작 공주 석장리 선사유적 (사적제 334호)

충청도

by 화천비타민나무 2012. 2. 29. 00:30

본문

반응형

한국 구석기의 시작.. 공주 석장리 유적지에 가 봅니다.

국사책이나..한국 역사책에 많이 나오는 공주 석장리 유적지에

한국 구석기의 존재를 밝혀내고 연구한 석장리 유적에 석장리 박물관이 세워졌습니다.

 

1963년 외국인 학자 . Albert Mhor 는 홍수로 인해 무너진 그강변의 지층에서 뗀석기를 발견했다고 합니다.

이를 계기로 연세대학교 손보기 교수가 중심이  되어 시작된 발굴 조사는 1964년 ~1992년 총 12차례 진행되었고

조사결과 한국 구석기의 존재가 입증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곧 한국인들이 교과서에서 구석기를 배우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하네요~

음..

또한 석장리유적 발굴 조사방법은 이후 발굴되는 구석기 및 한국 고고학의 연구 방법에 큰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합니다.

공주 여행을 하고 석장리 박물관을 다녀오면서.

한국 구석기의 존재를 다시 한번 생각하고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네요~

 

 

살짝 우리 나라 구석기 시대의 삶을 살았던 시대상을 보고 옵니다.

 

 

우리나라 첫 선사박물관으로 1964년~1992년까지 12차례에 걸친 학술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석장리 유적의 선사문화 복원은 물론 우리나라의 선사문화를 이해하기 쉽게

 체계적으로 비교전시, 개관한 박물관입니다.

석장리 유적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박굴, 조사한 구석기 유적으로

우리나라의 역사가 단군시대보다 앞서는 구석기시대부터

 이 땅에서 사람이 살아왔다는 귀중한 사실을 밝히게 한 유적이죠.

전시실은 자연, 인류, 생활, 문화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특별기획전을 1년에 1, 2회씩 주제별로 개최하며,

 야외체험장에서는 누구나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고

 어린이, 학생, 일반인들을 위한 박물관 교실도 운영 중이라고 하네요^.

 

 

석장리 박물관 규모가 엄청 커요~

아이들이 체험하고 학습하고 하기에 너무 좋은 공간입니다.

시설도 잘 되어 있구요~

마침 일요일인데도 아이들이랑 선생님이 야유회겸 체험학습활동을 나온것 같더라구요~

자유롭게 체험하고 공부 하는 모습이 보기 좋아 보였습니다.

 

 

 

 한반도에 정착한 원시 인류의 생활상을 한눈에 볼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네요~

 외부에서 잠시 둘러보고 안에 전시되어 있는 구석기 유물들을 보면 더 이해가 잘 될것 같습니다.

 

             석기를 떼는 석장기 슬기 슬기 사람 &^^& ㅎ

 

석장리 박물관입구에서 ^^

 

박물관에 있는 슬기 슬기 사람과

사냥하는 슬기 사람을 만날수 있어요^^

 

 

 

이정표 잘 보시고 둘러보세요^^

 

 

 

  [전시회 구성]

A.인간이 된다는 것..

B.인류 도구를 만들다.

C.구석기인은 어떻게 생활했을까..?

D. 석장리 구석기를 만나다.

E.석장리 이후 구석기 유적 조사 ..다른 나라의 구석기.

F.어린이를 위한 구석기 시대

G.특별 전시실..

 

이렇게 구성이 되어 있어요^^

 

 

인류의 진화과정..

기억을 되살려 보세요^^ ㅎㅎ

국사책을 보듯이..

최초의 직립보행? ㅎㅎ 누굴까요^^

 

 

이때 살아 가는 방법은 도구 발달이 되지 않았지만..

지금처럼 바쁘지는 않았겠지요~

자연과 친해지고 자연에 맡겨진 삶..

그 삶을 잠시 상상해 봅니다.

 

 

구석기 시대의 사람들..

그리고 예술..

지금의 생활속에서 그시대의 생활과 삶은..

현재의 공간에서 보면..모두가 예술일수밖에요~

아마도.. 지금의 삶이.. 미래에 어떻게 보여질지도 궁금해집니다.

 

 

석장리 구석기로의 초대.~

 

 

우리 동네에도 수몰되기 전에 유적지 발굴이 한참이던 때가 생각납니다.

왜 사람들이 그렇게 열심히 땅을 하나 하나 소중히 만지는지 이해 되지 못할때니까요~

지금도 화천지역에서 백제 유물이 나온다고 하는데요~

역사..그리고 삶.. 지키고 보존해야 할것이 많긴 하네요~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다양한 도구는 언제 부터 만들었을까..?

구석기인들은 어떤 방법으로 석기를 만들어 어디에 사용했을까..?

궁금하지 않으세요?

 

 

 

석장리 이후 구석기 유적 조사..

그리고 다른 나라의 구석기..

석장리 이후 조사된 한국의 구석기 유적수는 100여군데가 넘는다고 합니다.

그 가운데 대표 유적을 소개 하고 다른 나라의 구석기 유물들도 만날수 있는 공간이죠~

 

 

 

 

가족단위로 나들이 나온 분들이 많습니다.

아직은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리는데도..

가족단위의 나들이는 항상 누가 봐도 보기 좋습니다.

꼬꼬마 아이들이 넘어져도 아프지 않을..넓은 잔디 광장이..

아이들에겐 천국이나 다름없겠어요^^

 

 

졸졸졸졸...사람들이 가는 길을 따라가 봅니다.

그리고 아이들이 노니는 모습을 보니..

저절로 웃음이 나오더군요~

 

 

구석기 인은 어떻게 생활했을까..

구석기 인들이 살아가던 다양한 모습을 만나볼수 있는 공간..

 

자전거 도로길도 있고..

꽤 넓어 보이죠~

 

 

 

추위에 아랑곳없이 뛰어 노는 아이들 ..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박물관입니다.

 

 

어스름히 해가 지고 있네요~

 

석장리 선사유적지 사적 제 334호 지정되었습니다.

저 처럼 늦게 가지 말고 아이들 손잡고 다정하게 다녀오시면 좋겠어요^^

공주 한옥마을에서 잠도 자고..

 

 

 

사이버 공주 시민이 되어볼까요^^

 

 

공주문화해설사 예약 ( 공주시 문화관광해설사)

예약전화 :010-5024-2421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